티스토리 뷰
목차
현대미술의 쟁점 20090915
아방가르드 / 네오 아방가르드의 문제
아방가르드 / 네오아방가르드의 문제
아방가르드 개념의 역사
- 전선을 넘어 적진으로 보내는 척후병을 의미하는 불어의 군사용어
- 중세부터 사용되기 시작, 르네상스 시대에 구체화. 지적 급진성을 띠는 특정한 문화적 실천을 대변하는 용어
- 모더니즘 미술을 원하거나 통하는 개념으로 자리잡음.
- 가장 앞서 있는 개념과 이미지에서 다시 탈피하는 것. 보는 것과 그리는 방식을 새롭게 제시하
는 것. 형식적으로는 새로운 재현 방식을 표방하고 내용적으로 과거의 관습을 배격하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님. 일반적으로 ‘새로운 예술’, ‘젊은 예술’, ‘추상미술’, ‘모던 스타일’ 등의 의미로 사용.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가 공통된 의미와 실천을 행한다고 보고 이 두 개념을 같은 의미로 사용. 아방가르드는 반부 르주아적, 반대중적, 반대중적, 비상업적, 비정치적 순수미술, 질 높은 엘리트주의 미술을 지칭. 이후, 모더니즘으로 대체
- 마네를 시작으로 20세기 중반 추상표현주의의 작가를 끝으로 하는 그의 모더니즘(Modernism)론은 평면성, 매체의 물성, 그로 인한 모든 재현적 구속과 인습을 탈피하는 과정으로 정의되는 형식주의 진화론
피터 뷔르거(Peter Bürger)
- 20세기 전반기 미술을 역사적 아방가르드로 설명(「아방가르드의 이론(The Theory of Avant-Garde),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가 철저하게 상반된 관계라고 주장
- 자본주의를 공격하고 사회주의를 지지했던 작가의 이념을 우선시하여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비롯해서 베를린 출신의 다다이즘 작가들의 사진 몽타주를 아방가르드로 규정
- 다다이즘, 미래파, 기하학적 추상 등 일련의 전위적 미술을 보편적 개념과 구분하여 역사적 아방가르드로 봄.
- 아방가르드는 제도를 공격한다는 사실에 집중
아방가르드와 네오아방가르드
뷔르거
- 20년대에 이미 아방가르드에서 진행되었던 역사적 아방가르드 미술이 네오다다 이즘 작가들을 비롯하여, 50년대와 60년대의 팝아트, 미니멀아트, 그리고 그 후 작가들에게서 다시 반복되었다고 봄. 포스트 아방가르드 혹은 네오 아방가르드라고 불리는 60년대 이후의 미술에서는 어떠한 새로운 형식도 등장하지 못했으며 아방가르드 정신이 상실되고 비예술이 되거나 제도권으로 편입되었다고 주장
핼 포스터
- 뷔르거의 주장을 토대로 20년대 역사적 아방가르드가 관습의 파괴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비해 60년대 이후의 새로운 아방가르드, 즉 네오 아방가르드는 제도에 대항한다고 봄. 그는 포스트 모더니즘이란 단어 대신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개념을 사용하여 60년대 이후 서구 미술의 새로 운 특징을 설명하고자 함. 네오 아방가르드가 아방가르드를 반복한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기호로 전환했음을 강조.
- 후기구조주의에 입각(라캉, 알튀세), 원본과 해석본의 관계로 아방가르드 / 네오아방가르드를 해석하면서 네오아방가르드가 모더니즘으로 제도화된 미술에 대한 비판을 전개함으로써 아방가르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봄.
아방가르드와 포스트모더니즘
19세기 로부터 진행된 모더니즘(modernism) 미술은 아방가르드의 내용을 만족시킴.
포스트모더니즘이 시작되면서 아방가르드도 공격받는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 이러한 시각은 네오 아방가드를 포스트모더니즘의 범주로 이해하는 것.
'Fine Art. > 미술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상미술의 계보학 (0) | 2020.12.31 |
---|---|
탈모더니즘의 징후 3 : 제도비판미술 (0) | 2020.12.29 |
탈모더니즘의 징후 2 : 미술관을 넘어서 (0) | 2020.12.28 |
탈모더니즘의 징후 1 : 형식과 장르의 파괴 (0) | 2020.12.28 |
미술 비전공자의 게임그래픽 취업 (0) | 202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