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 통장 지원자가 체크해야 할 지역 복지 향상을 위한 제도

     

    1 . 긴급복지지원사업:

    긴급한 상황에 처한 가구를 돕기 위해 마련된 사업으로, 생계, 의료, 주거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통장은 긴급하게 지원이 필요한 가구를 발굴하고 추천하는 역할을 합니다.

     

    2. 기초생활보장제도:

    저소득층 가구에게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통장은 대상자를 발굴하고 지원 신청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3 .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사업:

    독거노인의 생활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사업으로, 안전 확인 및 생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장은 독거노인의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4 . 장애인 복지 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통장은 장애인의 필요를 파악하고 적절한 복지 서비스를 안내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5 .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통합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장은 대상자의 생활환경과 필요를 파악하여 돌봄 서비스를 연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6 . 저소득층 에너지 지원사업: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에너지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통장은 대상 가구를 발굴하여 지원 신청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7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연계 사업:

    다양한 가족 유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상담, 교육, 문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합니다.

    통장은 지원이 필요한 가구를 발굴하고 센터와 연계하는 역할을 합니다.

     

    8 .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 사업:

    지역 주민의 안전과 복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통장은 지역 주민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지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2 . 지역복지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1 . 복지로 (www.bokjiro.go.kr):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다양한 복지 혜택과 제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복지 정보도 제공하며, 필요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행복e음 시스템: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공공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합니다. 지역 통장들이 주민의 복지 혜택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시스템은 일반인보다는 주로 공무원들이 사용합니다.

     

    3 . 주민센터: 각 지자체의 주민센터에서는 다양한 지역 복지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장은 주민센터를 통해 직접 정보를 얻거나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여 복지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 각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 각 지자체마다 공식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지역별 복지 정책과 지원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의 경우 "서울복지포털"을 통해 다양한 복지 정보를 제공합니다.

    위의 사이트를 통해 통장은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복지 제도를 확인하고 안내할 수 있습니다.